top of page

Tags

Our Recent Posts

10년간 매일 5~6병 소주, 알콜성 간염 및 담낭 오니 (sludge) - 동대문구 답십리, 휘경동,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 작성자 사진: Byoung-Yeon Jun
    Byoung-Yeon Jun
  • 2022년 11월 22일
  • 2분 분량

40대 초반, 초진 얼굴/눈이 노래져서 3일간 금주하고 방문 오른쪽 윗배, 우상복부 아프면서 열이나고, 4일간... 뻐근하다가 아프다. 통증은 줄어들었는데... 아랫배가 힘을 빼면 뽈록해진다? 복수 걱정... 과거 rGTP 2000 이상 간장약 등을 복용했고... 5년간 약 50 kg 의 감량 10년간 매일 5~6병 소주 음주 초음파등 혈액검사 위해 내원 우측간의 하연은 뭉툭하고

담낭에 찌꺼기처럼 관찰

간 표면에 뚜렷한 요철 변화는 인지되지 않으며

자세를 변경시키면 움직이는 양상, 담낭오니, sludge로 판단


신장보다 아래로 내려와 있는 우측 간의 하연


간 종괴, 뚜렷한 간경화 소견등 없으나 간비대, 지방간을 동반한 알콜성 간염에 합당한 초음파 소견 수일간 금주로 황달 수치는 떨어지는 추세일 것이며

D1830003 Total Bilirubin 1.73H

≤ 1.20 mg/dL Newborn (full term) 24 hrs: 2.00-6.00 mg/dL 48 hrs: 6.00-7.00 mg/dL 3-5 days: 4.00-12.00 mg/dL-

전형적인 알콜 간염 모습 AST>ALT 2배 이상, rGTP 매우 상승

D1870003 ALP 239 H

M : 40-130 U/L-

D1860003 AST(GOT) 143 H

M : < 40 U/L-

D1850003 ALT(GPT) 38

M: < 41 U/L-

D1890003 γ- GTP 1973 H

M : 10-71 U/L-

< Comment > 측정 가능범위를 넘어선 고치이므로 희석해서 검사했습니다.


백혈구 및 혈소판의 감소상태 간경화보다는 알콜의 독성 작용에 의한 골수 억제일 수 있다.

D0002013 WBC 3.04 L 4.00-10.00 x(10)3/μL-

< Comment > 재검한 결과입니다.

D0002033 RBC 3.66L

M : 4.20-6.10 x(10)6/μL-

D0002053 Hemoglobin(Hb) 13.2 L

M : 13.5-17.5 g/dL-

D0002043 Hematocrit(Hct) 38.5 L

M : 40.0-52.0 %-

D0002073 Platelet 85L 130-400 ×(10)3/μL-

< Comment > 재검한 결과입니다.

MCV 105.2H 80.0-100.0 fL-

MCH 36.1 H 27.0-34.0 pg-

MCHC 34.3 32.0-36.0 g/dL-

결과 듣기 위해 내원시 1주일 금주중, 1.5 kg 늘었다. "스트레스 요인이 없어졌으니 금주할수 있다." !!! 간장약/이담제 처방 후 2주뒤 공복 평가 계획 - 간기능, 혈구수치, 당뇨 평가 (공복 혈당 140이었음) 술만 마시면 오른쪽 윗배가 땡긴다? 지방간에 간비대 의심, 알콜 과민반응? 가능성 간수치 상승은 뚜렷하지 않았지만 https://blog.naver.com/ejercicio/222923955214


저녁에 흑마늘 즙? 복용하면 이후 반복적으로 저녁에만 발생하는 몸살 느낌과 우상복부 통증

소량의 복수, 간비대/악화된 지방간 소견이 관찰된 독성 간염


만성 음주자에서 혈구 수치 이상


지속적인 알코올 간염 소견이다가 3-4년에 걸쳐 간경화로 진행한 사례, 혈소판 감소 및 간 표면의 결절성 변화가 진행


알콜성 간경화 환자에서 당뇨의 발생


About 30% of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have overt diabetes mellitus (DM). However, 80% with normal fasting blood glucose have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or DM by means of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There is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M and liver cirrhosis: hereditary type 2 DM is a risk factor for chronic liver disease (CLD). On the other hand, DM may occur as a complication of cirrhosis. This type of diabetes is known as hepatogenous diabetes (HD). 간경화 환자의 30%가 당뇨를 가지고 있다. 정상혈당을 보이는 80%에서도 손상된 내당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당뇨가 간질환의 위험인자가 되지만, 반대로 간경화의 합병증으로 당뇨가 발생할 수 있다.


복수를 주소로 내원한 심부전 사례, 알콜성 심근병 의증

담낭에 오니로 가득찬 모습


담낭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알콜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건강검진 클리닉 내과 전문의 전병연



Comments


Copyrights ⓒ 우리안애 愛 내과, 건강증진센터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