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항응고제 복용 환자에서 용종절제술 후 출혈 지속되어 기계적 결찰술 시행, 내시경에서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지침 확인; 내시경 초음파 등은 진료의가 직접 검사를 해야한다.
60대 중반 뇌졸증,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질환으로 대학병원에서 와파린 복용중 (왜 와파린으로 복용하는지 알지 못함. 진료 본 의사 차트를 보았을 때) 수일간 끊도록 교육받았다고 함. 수일 몇일?? 6 mm의 경이 있는 용종 올가미를...
2020년 11월 27일3분 분량
59


초기 진단시 수축기 200이상의 혈압, 과도한 처방(타원)과 중복된 백의 고혈압 확인, 높은 혈압에 대한 이차고혈압 검사에서 이상 소견, 쿠싱증후군 의증, 뇌하수체 종양 감별 필요
http://blog.naver.com/ejercicio/221055088800 의뢰 검사실의 오류로 24시간 정량 보고가 되지 않았지만, 정량이 아닌 농도 보고로서 전체 소변을 고려하여 계산해보면 free cortisol 농도 53.61...
2020년 11월 27일1분 분량
13


기립성 저혈압 증상을 유발하도록 과도하게 처방받은 백의 고혈압이 중복된 본태성? 고혈압 사례 --> 결과 변동; 쿠싱 증후군 cushing syndrome?
http://blog.naver.com/ejercicio/221049653172 상기 사례의 2번째 환자 이전 검사는 검사 진행중 7월 초순 초진시 감기 증상 이후 2주간 지속되는 몸살, 가래 증상, 이물감으로 내원, 비강 스테로이드 및 경구...
2020년 11월 25일2분 분량
13

뚜렷한 1도 방실차단
60초반 여자 혈압약 투약 중 정기적인 혈액검사 위해 내원 심전도 56/min, RSR, 1도 방실 차단, PR 간격 378 msec 1도 방실차단 PR 간격 > 200ms (five small squares) ‘Marked’ first...
2020년 11월 24일1분 분량
265


진료실 임상과 엑스레이 판독의 괴리, 임상적 적용에 있어 종합적 판단 필요
실제 증상은 상기도 기침 증후군, upper airway cough syndrome 이었으나 영상의학과 판독은 계속 폐렴을 주었던 경우, 결핵파괴폐에 의한 단순 엑스레이의 한계 항생제 사용 없이 증상 호전 후 폐 CT 촬영하기로 환자와 상의...
2020년 11월 1일1분 분량
17


혈압 환자의 경동맥, 죽상경화반 진단
70대 후반 여자 검진 위해 내원 대학병원에서 혈압약 투약 중 진료실 혈압 152/62 이중 경동맥 초음파에서 오른쪽 내경동맥 기시부에서 죽상경화반이 관찰됨 왼쪽 경동맥의 bulb 부위에서는 전반적인 내막의 비후 소견 골다공증 검사에서 요추와...
2020년 11월 1일1분 분량
63


알콜에 의한 독성 심근병, 만성 음주에 의해 간경화만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 동대문구 답십리, 우리안애 우리안愛 내과
알콜에 의한 독성 심근병 심부전 원인 중 10%정도로 생각됩니다. 매일 약 100g의 알콜을 5-10년 복용할 때 위험합니다. 그러나, 폭음을 자주하는 것도 연관될 수 있습니다. 많은 알콜 심근병 환자들은 일상생활에 기능적 장애를 보이지...
2018년 11월 3일1분 분량
42


백의고혈압의 구별, 가정혈압등으로 확인을 해야하며 쉽게 백의고혈압으로 단정지으면 고혈압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백의 고혈압 140-160 정도의 수축기 혈압을 보이는 고혈압 환자의 일부에서 의사나 의료인 앞에만 고혈압을 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상황에서 측정 시 정상 범위에 혈압을 보인다. 백의 고혈압은 흰옷에 대한 과장된 반응의 결과로, 조건화된...
2018년 10월 17일1분 분량
23
bottom of page